겨울이 깊고 추워지면 몽골 최대의 명절 차강사르(Цагаан сар)가 찾아옵니다. 2024년 차강사르는 2월 10일부터 2월 12일까지 3일간이며, 한국의 설날과 비슷한 개념의 명절입니다.
차강사르의 의미 - Цагаан(하얀) сар(달)
몽골인에게 하얀색은 매우 좋은 의미를 지닌 색으로 여겨지며, 처음(시작)을 뜻하는 색입니다. (참고로 차강사르의 음식은 대부분 하얀색입니다.)
차강사르는 겨울의 끝과 함께 다가오는 봄을 맞이하는 새로운 시작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차강사르는 새로운 생명과 희망을 상징하며, 옛 전통과 신념이 고스란히 녹아있는 몽골에서 가장 중요한 명절 중 하나로 여깁니다.
차강사르 날짜 계산법은 좀 복잡한데 몽골인은 12월 22일부터 9일씩 나누고, 9일씩 9번이 지나면 봄이라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81일(9x9)이 지나 봄이 시작되는 날이 바로 봄의 시작, 차강사르입니다. 하지만 차강사르의 날짜는 몽골의 국교인 라마교(티베트 불교)의 지도자들이 결정하기 때문에 매년 날짜가 바뀐다고 하네요.
또한, 차강사르의 전날을 꽉 찼다는 의미를 갖는 '비퉁'(한 해가 꽉 찬 날; Битүүн)이라고 하는데, 이 날은 한 해의 묵은 때를 다 지우기 위해 집안을 대청소하고 새해(차강사르)를 맞을 준비를 합니다. 그리고 이날 모든 가족이 모여 밤새도록 배가 터질 정도로 장만한 음식을 먹어요. 그래야 새해에 굶주리지 않는다고 그들은 믿기 때문입니다.
차강사르 준비 - 델(дээл), 보즈(бууз), 오츠(ууц), 올보브(ул боов)
차강사르를 맞이하기 위한 몽골인은 여러 가지 준비를 합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차강사르 기간 동안 '델'이라 불리는 몽골 전통 의상을 입습니다.
몽골의 전통 의상인 '델'은 그 나라의 풍요로운 역사와 풍부한 문화를 대표하는 상징 중 하나입니다. 델은 몽골인들의 정신과 전통을 고스란히 담아내며, 몽골의 무궁무진한 대지와 변화무쌍한 자연을 반영한 디자인으로 유명합니다. 예를 들어, 푸른색은 하늘과 초원을 나타내어 행복과 안정을 상징하고, 빨간색은 용감하고 강인한 정신을 나타내며, 델의 문양은 종족, 가족, 종교적 신념 등을 상징합니다.
일반적으로 델은 주로 양모로 만들며, 오목하게 파인 V형의 목과 넓은 소매, 허리에서 시작되어 트렁크를 감싸는 모습을 하고 있어요. 이러한 디자인은 몽골의 역동적인 환경에서의 이동성과 보온성을 고려한 결과물로, 특히 한창 추운 겨울에 효과적으로 몸을 보호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또한 가족들은 집을 꾸미고, 특별한 음식을 준비하여 이날을 축하합니다.
그리고 차강사르 당일 가족들은 선조들에게 감사의 뜻을 표현하기 위해 제사를 지냅니다. 전통적인 몽골 제사는 양식과 노래, 춤으로 이루어져 선조들에게 경의를 표하는 의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음식은 몽골의 특산물을 활용하여 풍성하게 준비하는데 대표적인 음식 중 하나인 '보즈'(бууз)는 차강사르의 대표적인 음식입니다. (한국의 만두와 매우 흡사한 보즈를 1,000~1,500개를 만듦)
그 밖에 준비하는 음식들은
오츠(ууц) : 양 한 마리를 삶은 요리로 손님을 위해 양 한 마리를 준비했다는 존중의 표현한다고 합니다.
올보브(ул боов) : 접시에 빵을 홀수단(3,5,7)으로 쌓고 그 위에 치즈, 아롤 등으로 장식한 음식입니다. 몽골에서는 홀수를 길한 숫자라고 여긴다고 하네요.
몽골의 차강사르는 가족과 친구들이 모여 행복한 시간을 보내는 날입니다. 특히 몽골에서는 가족의 중요성이 크기 때문에, 차강사르는 가족의 유대감을 강화하고 소통하는 소중한 시간입니다.
새로운 시작과 희망의 시간인 몽골의 차강사르는 가족과 친구, 그리고 선조들에게 감사를 표하며 새로운 한 해를 시작하는 몽골인들의 따뜻한 마음이 느껴지는 몽골 문화의 깊은 숨결을 담은 특별한 날입니다.
몽골어 팁 - 차강사르 인사
차강사르에는 어른에게 인사를 드릴 때 윗사람이 팔을 위로, 아랫사람은 아래로 잡고 인사합니다. 그리고 존경의 의미를 담아 얇고 긴 천(하닥; хадаг)을 잡고 인사하기도 합니다.
Сайхан шинэлж байна уу? (새항 쉬넬찌 배노) 새해맞이를 잘하고 계신가요?
Сар шинэдээ сайхан шинэлээрэй. (사르 쉬네데 새항 쉰렐레) 새해 잘 보내세요.
Сар шинийн мэнд хүргэе. (사르 쉬닌 멘드 후르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몽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몽골 여행을 위해 꼭 필요한 준비-유비무환(有備無患) (1) | 2024.03.01 |
---|---|
몽골 전통 악기морин хуур(머릉호르)- 마두금(馬頭琴) (3) | 2024.02.11 |
젊은 나라 몽골 - 몽골의 교육제도 (1) | 2024.01.08 |
몽골에서 시간 약속은 중요하지않아? (3) | 2024.01.03 |
자연의 품격을 담은 특별한 몽골 음료 - 수테차(сүүтэй цай) (5) | 2024.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