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몽골의 주택 인구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0년 인구 조사 이후 몽골의 인구는 매년 평균 2.2% 증가하고 있으며, 14세 이하가 31.5%, 15~65세는 64.45%, 65세 이상은 4.1%가 분포되어 있다. 몽골은 35세 미만 젊은 층이 전체 인구의 60%를 넘는 젊은 나라다. 이번에는 젊은 미래를 양성하는 몽골의 교육제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젊은 사람이 많은 인구 구조는 경제적 성장과 노동력의 주축이 된다
2023년 말 미국 뉴욕타임스의 칼럼니스트, 로스 다우서트는 '한국은 사라지는가(Is South Korea Disappearing?)'라는 제목의 칼럼에서 한국의 저출산은 인해 14세기 유럽 인구의 30~40%를 앗아간 흑사병을 능가하는 속도의 인구 감소(depopulation)가 될것이라 말했다.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2022년 기준 0.78명)
이에 반해 몽골의 합계출산율은 2022년 기준 2.90명으로 인구 증가 속도가 빠르다. 최근 1인당 GDP 소득이 1만 2000달러를 넘어섰고, 경제성장률은 지난해 4.8%를 기록하며 몽골의 성장세가 가파르다.
나라의 인구구조는 그 국가의 경제, 사회,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특히, 젊은 사람이 많은 인구 구조는 경제적 성장과 노동력의 주축이 된다. 노동 시장에 진입하는 젊은 인구는 새로운 기술과 혁신을 통해 기업의 생산성을 향상하며 국가 전반의 경제적 발전에 기여한다. 또한 젊은 세대의 다양성은 사회적, 문화적인 다양성으로 이어진다. 다양한 배경과 경험을 가진 젊은 인구는 창의성을 통해 문화와 예술, 과학과 기술 분야에서 혁신적인 발전을 이끌어내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젊은 인구가 많다고 무조건 나라의 밝은 미래가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젊은이를 위한 국가적 교육체계에 따라 그 미래가 바뀔 것이다. 고등 교육 및 전문 교육 기회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진보하고 새로운 분야에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어야 국가의 미래 발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된다. 적절한 정책 및 사회적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그럼 몽골의 교육제도는 어떠한가?
1921년 몽골 인민혁명 이전에는 몽골 인구의 대부분이 글을 읽거나 쓸 수 없었다. 그리고 남성게만 공부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었다.
하지만 혁명 이후 몽골의 교육 제도는 현대적 제도로 급격하게 변하였다.
몽골의 총인구수는 2019년 기준으로 3,296,866명이며, 이 중 학력인구(5~24세)는 약 1/3를 차지한다. 몽골의 교육제도는 우리나라와 비슷하게 ‘유치원 / 초중고 / 대학교 및 기술학교’의 3단계의 교육제도를 가지고 있다.
초중과정은 9년간의 의무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고등과정은 의무교육은 아니지만 무상으로 운영되며, 일반고나 직업전문고등학교로 진로를 선택할 수 있고 고등학교 졸업률도 높은 편이다. - 초등 5년(6~10세), 중등 4년(11~14세), 고등과정 3년(15~17세) 총 12년으로 구성됨
1. 유치원 (2~5세)
몽골 어린이들의 기초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유치원은 1930년 처음 설립되었고, 8세가 될 때까지 취학 전 과정으로 유치원을 다니게 된다. 2016년 기준 1354개 유아교육기관에 24만 3432명이 다녔으며, 소유 형태에 따르면 국립 854개, 사립은 500개로 집계되었습니다.
2. 초등 교육 (1-4학년)
초등 교육은 대개 1학년부터 4학년까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단계에서는 학생들이 기본적인 학문과 언어 능력을 키우는데 중점을 둔다. 몽골어와 몽골 문자를 배우며, 수학, 사회 과학, 예술 등의 기초 교육을 받는다.
3. 중등 교육 (5-9학년)
중등 교육은 5학년부터 9학년까지 이어진다. 이 단계에서는 학문의 깊이가 더해지며, 학생들은 여러 교과목을 수강하게 된다. 언어, 수학, 과학뿐만 아니라 체육, 예술, 음악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도 교육을 받는다.
4. 고등 교육 (10-12학년)
고등 교육은 10학년부터 12학년까지 진행된다. 이 단계에서는 학문 분야를 선택하고, 해당 분야에 대한 심화된 지식을 쌓을 수 있다. 이때 몽골의 전통적인 학문 분야뿐만 아니라 현대적인 과학, 기술, 인문학 분야에서도 다양한 전공이 제공된다.
5. 대학 교육
고등 교육 이후, 학생들은 대학에 진학할 수 있다. 대학은 다양한 전공과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학생들은 자신의 흥미와 미래의 진로에 따라 전공을 선택한다. 대학에서는 학문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실무 경험과 현장 실습을 통해 실무 능력도 함양할 수 있다.
대학교는 의과대학(6년)을 제외하고 3~4년제의 학과과정을 가지고 있다.
대표적인 몽골의 대학교는 다음과 같다.
- 몽골 국립대학교(National University of Mongolia; NUM 또는 MUIS)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에 위치한 국립대학. 1942년 정부에서 최초로 설립한 대학교로 몽골 최상위대학이다.
- 몽골 국제대학교(Mongolia International University; MIU)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에 위치한 사립대학. 교육부로부터 인가를 받고 정부로부터 부지를 기증받아 건립된 이 대학은 모든 수업이 영어로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 몽골어 팁 ): 서수 표현 -дугаар , 몽골의 학교(초중고)는 숫자로 이름이 정해져 있다.
몽골에서는 대부분 한 학교에서 초중고 12년 과정을 수료하는데 학교의 이름이 숫자로 표기된다. (만약, 숫자로 표기된 학교가 아니라면 사립학교임)
1-р сурууль, 2-р сурууль, 3-р сурууль... 1번째 학교, 2번째 학교, 3번째 학교...
숫자 뒤에 '-дугаар'(도가르)를 붙이면 '~번째'라는 서수 표현이 된다. 몽골어는 모음조화(*아주 중요함)에 따라 남성모음 뒤에는 -дугаар, 여성모음 뒤에는 -дүгээр (두게르)를 붙인다. 문자로 표기할 때는 -р를 사용한다.
몽골에서 지명, 건물명 등에 많은 서수 표기를 사용하니까 알아두면 몽골 여행하면서 큰 도움이 될 거다.
1-р сурууль = нэгдүгээр сурууль : 첫 번째 학교
2-р хичээл = хоёрдугаар хичээл 두 번째 수업
3-р сар = гуравдугаар сар 3월
4-р анги = дөрөвдүгээр анги 4 학년
5-р орц = тавдугаар орц 5번 입구
6-р хороолол = зургадугаар хороолол 6 구역
7-р курс = долдугаар курс 7학년
8-р байшин = наймдугаар байшин 8번 건물
9-р давхар = есдүгээр давхар 9층
10-р эмийн сан = арвадугаар эмийн сан 10번 약국
'몽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몽골 전통 악기морин хуур(머릉호르)- 마두금(馬頭琴) (3) | 2024.02.11 |
---|---|
차강사르 (Цагаан сар) - 몽골의 희망과 새 출발 (0) | 2024.02.01 |
몽골에서 시간 약속은 중요하지않아? (3) | 2024.01.03 |
자연의 품격을 담은 특별한 몽골 음료 - 수테차(сүүтэй цай) (5) | 2024.01.03 |
몽골 여성의 강인함이 아름답다. (1) | 2023.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