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61 맥주 이야기 (2): 고대 이집트와 맥주의 역사 많은 역사학자들은 맥주의 기원을 기원전 6,000년경 고대 메소포타미아 지역으로 추정합니다. 이 지역은 인류 최초로 발효 기술을 개발한 문명으로, 맥주 역사에 있어 중요한 시작점입니다. 하지만 고대 이집트에서는 맥주가 더욱 발전했던걸로 보입니다.고대 이집트 맥주의 발달 과정은 종교적 의식과 노동자의 복지와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맥주는 종교적 의식에서 신성한 제물로 사용되었으며, 하토르 여신을 기리기 위한 축제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또한, 피라미드 건설을 담당한 노동자들에게는 맥주가 급여로 지급되어 중요한 영양 공급원이 되었으며, 이는 그들의 복지를 향상하고 노동 효율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습니다.고대 이집트에서의 맥주의 발전 메소포타미아와 달리, 이집트인들은 맥주를 더 체계적으로 양조하고 이.. 2024. 11. 24. 맥주 이야기 (1) : 맥주문명론 맥주문명론(Beer Before Bread Theory)이라는 이야기 들어보셨나요? 이 이론은 한 마디로 "맥주가 인류 문명을 탄생시켰다"는 생각에서 출발합니다. 빵보다 맥주가 먼저였다는 이야기인데, 이 흥미로운 이론과 고대 문명에서 맥주가 어떤 역할을 했는지, 그리고 이와 전통적인 이론과의 차이점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맥주문명론(Beer Before Bread Theory)은 인류가 농경 생활을 시작하게 된 이유가 빵이 아니라 맥주를 양조하기 위해서였다는 주장을 담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사람들이 곡물을 재배하고 정착 생활을 하게 된 동기가 빵을 만들기 위한 생존 음식이 아닌, 맥주를 만들기 위한 것이었다는 것입니다.이론의 배경 고대 사회에서의 맥주의 가치는 단순히 취할 수 있는 술의 의미를 .. 2024. 11. 23. 몽골의 날씨: 몽골 겨울의 무서운 재난 조드(Dzud) 몽골 겨울은 혹독하게 춥습니다. 반적으로 겨울은 11월부터 시작해서 3월까지 이어지고, 특히 한파가 오면 영하 40도 아래로도 내려가고 가끔 겨울이 몇 달 동안 끊임없이 영하 20도 이하에서 유지되기도 합니다. 겨울이 되면 가혹한 기후 재해인 조드(Dzud)발생하여 많은 가축이 눈과 극심한 한파로 인해 풀을 찾지 못하고 굶어 죽게 됩니다. 예를 들어, 2009-2010년 겨울에는 약 1,030만 마리의 가축이 폐사하며 전국 가축의 약 30%가 피해를 입었고, 2023-2024년 겨울에도 약 710만 마리가 폐사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이러한 조드는 단순한 자연 재해를 넘어서, 몽골의 사회경제적 발전을 제한하고 목축업을 기반으로 한 많은 이들의 생계를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조.. 2024. 11. 22. 몽골 교통카드 U머니 (Umoney)로 본 사업진출 사례 몽골의 교통카드 U머니 (Umoney)를 아세요? 몽골의 U머니는 한국의 T머니와 너무 비슷하죠? 이유는 몽골의 교통결제 시스템이 한국의 'T머니'의 기술 이전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몽골 U머니의 보급과정과 그를 통해서 몽골에 사업 진출 시 유의할 사항을 살펴보겠습니다. 티머니의 전신인 한국 스마트카드는 2014년에 몽골의 수도인 울란바토르시와 합작하여 '울란바토르 스마트카드(USCC)'를 설립하며 몽골 시장에 진출하였고, 이를 통해 울란바토르 시민들은 교통요금을 현금 대신 교통카드로 지불할 수 있는 'U머니(Umoney)' 시스템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이 시스템의 도입은 시민들의 생활 편의성을 높였으며, 현대적인 대중교통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몽골 경제의 특성.. 2024. 11. 21. 몽골 기업 (2) - 몽골 대표 주류 및 음료 제조업체 'АПУ (APU)' 여러분은 몽골 여행 중 아래의 술들을 보신적이 있나요? 이 모든 주류 제품은 몽골의 대표적인 음료 및 주류 제조업체 'АПУ (APU)'의 생산제품입니다. 오늘은 몽골의 대표적인 음료 및 주류 제조업체 'APU'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924년에 설립된 APU는 주류, 무알콜 음료, 유제품 등을 포함한 다양한 제품을 제조하며, 몽골 국민의 일상에서 없어서는 안 될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몽골 사람들은 축제나 특별한 모임에서 APU의 제품을 즐겨 소비하며, 브랜드의 영향력은 몽골 전역에 걸쳐 매우 큽니다.몽골 음료 시장에서 APU의 위치와 브랜드 APU는 처음 설립될 당시 주로 주류 생산에 중점을 두고 있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맞추어 무알콜 음료와 유제품으로 제품군을 확장하였습.. 2024. 11. 20. 몽골 편의점 시장의 선두주자: CU와 GS25의 성공 이야기 몽골에서 한국 편의점 브랜드가 어떻게 성공했는지 궁금하지 않으세요? 오늘은 몽골 편의점 시장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한국의 대표 브랜드, CU와 GS25의 성공적인 진출 이야기와 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 CU와 GS25는 몽골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어떤 현지화 전략을 펼쳤는지, 그리고 그 결과 어떤 성과를 거두었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CU의 몽골 진출과 현지화 성공 전략 CU 편의점은 2018년 8월, 몽골 현지 기업인 센트럴익스프레스와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을 맺고 몽골 시장에 첫 발을 내딛었습니다. 이후 빠른 속도로 점포 수를 늘려 2020년 10월에는 100호점, 2022년 4월에는 200호점을 돌파했으며, 2022년 5월 기준으로는 약 260개의 점포를 운영하며 몽골 편의점 시장의 .. 2024. 11. 19. 이전 1 2 3 4 5 6 ··· 1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