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어 알파벳(Цагаан толгой -차강 털거이)은 총 35자로 이루어져 있어요. 현대 몽골어는 러시아 키릴문자(33자)를 차용해 사용하고 있는데 몽골어 음가를 표기하기 위해 ‘ө’와 ’ү’를 추가해서 사용하고 있죠.
(하지만 핸드폰을 사용하는 경우, 대부분의 몽골인은 영어 표기를 사용해서 몽골어를 표현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기회가 된다면 관련한 글을 올려보겠습니다.)
몽골어 몽골의 키릴문자 사용하게 된 이유
19세기 중반까지 몽골은 몽골제국의 영향을 받아 몽골 전통 문자를 사용했습니다.

그러나 몽골제국의 몰락 이후, 중국과의 군사적 갈등과 1911년 중화민국의 건국이 몽골에 변화를 일으켰어요. 당시 중화민국은 공식적으로 몽골 스크립트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했습니다. 그리고 1921년, 소비에트 연방이 몽골을 지원하며 몽골인들은 몽골 스크립트 대신 키릴 문자를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소비에트 연방의 국경 내에서 통일된 문자를 사용하려는 정책의 일환이었다고 합니다.)
또한, 키릴 문자의 도입은 몽골이 국제 사회와의 교류에서 더 적극적인 역할을 하고자 했던 결과이기도 합니다.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문자를 사용함으로써, 몽골어를 다루는 데 있어서 언어 장벽을 줄이고 국제 사회와의 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몽골의 알파벳 (Цагаан толгой)
그럼 몽골에서 사용하는 알파벳(키릴 문자)에 대해 알아볼까요?
몽골의 알파벳은 몽골어로 Цагаан толгой(차강 털거이)라고 부릅니다.
몽골어의 차강 털거이는 총 35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러시아어 알파벳 개수는 33개지만 몽골어만의 음가를 표기하기 위해 ‘ө’와 ’ү’를 추가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자음 20개
Б б [beh] : 한국어 발음 ㅂ
В в [weh / veh] : 영어발음
W, V와 유사
Г г [geh] : 한국어 발음 ㄱ
Д д [deh] : 한국어 발음 ㄷ
Ж ж [jeh] : 한국어 발음 ㅈ
З з [dzeh] : 영어 발음
Z К к [kah] : 한국어 발음 ㅋ
Л л [el] : 영어 발음 L (개인적으로 이 발음이 쉽지 않아요😅)
М м [em] : 한국어 발음 ㅁ
Н н [en] : 한국어 발음 ㄴ, ㅇ (Н은 뒤에 모음이 오면 [ㄴ], 그렇지 않으면 [ㅇ]으로 발음됩니다.)
П п [peh] : 한국어 발음 ㅍ
Р р [ir] : 한국어 발음 ㄹ
С с [iss] : 한국어 발음 ㅅ
Т т [teh] : 한국어 발음 ㅌ
Ф ф [feh] : 영어 발음 F
Х х [kheh] : 한국어 발음 ㅋ+ㅎ, 영어발음
H Ц ц [tseh] : 영어 발음 ts와 유사 (roots, tsunami)
Ч ч [cheh] : 한국어 발음 ㅊ
Ш ш [ish] : 영어 발음 sh(blush)
Щ щ [ishcheh] : 영어 발음 sh와 ch의 중간 발음
*К, П, Ф, Щ 이 네 글자는 외래어에서만 사용되는데, П의 경우 의성어에서도 가끔 나타납니다.
모음 13개
А а [ah] : 한국어 모음ㅏ
Е е [yeh] : 한국어 모음 ㅖ
Ё ё [yaw] : 한국어 모음 ㅕ
И и [ee] : 한국어 모음 ㅣ
й [ee] : 한국어 모음 ㅣ(이 모음은 Хагас и (하가스 이)라고 하는데 단독으로 음절을 구성할 수 없고, 기본 모음의 보조 역할을 합니다.)
О о [o] : 한국어 모음 ㅓ
Ө ө [o] : 한국어 모음의 ㅗ와 ㅜ의 중간 발음
У у [uuh] : 한국어 모음 ㅗ
Ү ү [uu] : 한국어 모음 ㅜ
ы [ee] : 한국어 모음 ㅣ를 길게 (ий와 같이 긴 장모음 'ㅣ'로 발음되는데 모음조화의 법칙에 의해 단어의 이전 모음이 양성인 경우에 사용합니다.)
Э э [eh] : Help에서 발음되는 e와 유사한 발음
Ю ю [yo] : 한국어 모음 ㅛ 또는 ㅠ (이 글자는 상황에 따라 양성(ㅛ) 또는 음성(ㅠ) 모음이 됩니다.)
Я я [yah] : 한국어 모음 ㅑ *몽골어에서는 장모음과 이중모음을 사용해요.
장모음, 이중 모음
단모음 두 개를 사용해 장모음을 표기하고, й(하가스 이)를 사용해 이중모음을 만듭니다.
аа(아~) ай(아이, 애)
оо(어~) ой(어이, 에)
уу(오~) уй(오이, 외)
үү(우~) үй(우이, 위)
ээ(에~) эй(에이)
өө(어~) *өй는 없어요
ий(이~)
부호 2개
이 두 개는 발음은 갖고 있지 않습니다. 이 부호는 자음 뒤에 오는데 앞의 자음을 강하게 또는 부드럽게 발음하게 합니다.
ъ : хатуугийн тэмдэг(하토긴 템득), 경부호
ь : зөөлний тэмдэг(즈을니 템득), 연부호
지금까지 몽골어의 알파벳, Цагаан толгой(차강 털거이)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몽골어는 나름의 독특한 발음 특성이 있으니까 위에 첨부한 유튜브 동영상을 계속 들어 보는 것이 도움이 될 거예요.
'좌충우돌 몽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몽골어의 기원과 특징 (1) | 2024.01.02 |
---|